본문 바로가기

§ 人터넷, 人사이드 /궁금한 그 무엇

비(雨, Rain)

(雨, Rain)


구름으로부터 떨어지는 물방울 또는 물방울이 구름으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을 말함. 빗방울이 떨어지는것을 강우

雨 비 우  雨 (비우, 8획) 총8획
하늘에서 물방울이 떨어지고 있는 모양을 본뜸. (우)란 음은 宇(우)ㆍ羽(우) 따위와 관계(關係)가 있고 위로부터 덮는다는

뜻이 닮았음. 부수(部首)로서는 비 또는 구름, 기타 氣象(기상)에 관한 뜻을 나타냄
 
rain ( rein, reign) n.
1  비; 강우; 우천(rainy weather)
   >a heavy rain 호우
2 a [pl.] (우기 등의) 강우, 장마;소나기, 한차례 내리는 비
   >spring rains 봄장마
   b [the rains] (열대 지방의) 우기(雨期)
3 [a rain] (…의) 비 《of》;빗발(치는 듯한 …)
   >a rain of bullets[blows, telegrams] 빗발치는 총탄[타격, 전보]

대기 중의 수증기의 지름 0.2mm 이상의 물방울이 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약 10만개의 구름방울이 뭉쳐야 1개의 빗방울이 되는데 이렇게 많은 양의 구름방울이 모이는 원인에 대해서는 현재 빙정설과 병합설로 설명한다. 이경우는 강우의 물리적인 설명이지만 기상학적인 조건에 의한 강우도 있다. 대류성 비, 지형성비, 전선성 비, 수렴성 비가 그 예이다.

▷빗방울의 크기가 지름 0.5mm 이상을 비라고 말한다. 온대지방의 빗방울은 보통 1 ~ 3mm 정도이다.
▷일정한 기간 동안 내린 비의 양을 '강우량'이라 하며, 보통 mm 단위로 비가 내려 고인 물의 높이를 잰다.
▷지구상의 대부분의 생물들은 물을 필요로 하며, 비는 육지의 생물들에 수분을 공급하는 근원이 된다. 비가 많이 내리면 강이 넘쳐 흘러 홍수가 되고, 산사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산업화 이후로는 빗속에 오염된 물질이 섞여 산성을 띠는 산성비가 문제가 되고 있다.


측우기(測雨器)는 조선 시대에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던 기구로서,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이다. 조선 세종 때 처음 만들어졌으며, 조선 고종 때까지 사용된 기록이 남아 있다. 현재는 1837년 공주에 있었던 충청감영에서 제작된 금영측우기(錦營測雨器, 보물 561호)만이 남아 있다.